top of page

[강연] 2025 이미지문화 연구소 콜로키움 Part I

ree

2025년 이미지문화 연구소 콜로키움

<기술 언어에서 큐라토리얼 실천으로: 1960년대 알고리즘 기반 전시들>



10월 29일(수)

1. "예술의 새로운 비전: 《아르테 프로그라마타》"(밀라노, 올리베티, 1962)

조수빈 (이미지문화연구소)


11월 19일(수)

2. "예술이 기술을 만났을 때: 《사이버네틱 세렌디피티》(런던, 현대미술연구소(ICA), 1968)

정미주(이미지문화연구소)


12월 3일 (수)

3. 오브제에서 시스템으로: 《소프트웨어》(뉴욕, 유대인박물관, 1970)

강지민(이미지문화연구소)



1960년대는 예술과 기술, 전시 실천이 전례 없이 교차하며 미술의 역사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한 시기였습니다. 마치 오늘날의 AI처럼, 프로그램, 정보, 시스템 같은 용어들이 예술 실천에 영향을 주고, 새로운 미학적·사회적 실험을 이끌었습니다. 이미지문화 연구소는 향후 2년 동안 미술사에서 잊힌 1960년대 알고리즘 기반 전시를 발굴하고, 이를 통해 미술의 역사를 재구성하고자 합니다.


올해 행사는 밀라노에서 개최된 《아르테 프로그라마타(Arte Programmata 1962)》, 런던 ICA의 《사이버네틱 세렌디피티(Cybernetic Serendipity 1968)》, 뉴욕 유대인박물관의 《소프트웨어(Software 1970)》 전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기술 용어가 전시장에서 창조적으로 해석되고, ‘열린 예술 작품’, '개념 미술’ 같은 새로운 예술 담론을 이끄는 과정을 집중적으로 고찰함으로써, 미술의 역사를 기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게 될 것입니다.



올해 콜로키움은 연구소 내부 행사로 진행되며, 향후 유튜브 채널을 통해 녹화 영상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주최/주관: 이미지문화연구소



Institute for Image Culture Colloquium 2025

"From Technical Jargon to Curatorial Practice: Algorithmic Exhibitions of the 1960s"



Oct 29

1. A New Vision of Art: Arte Programmata in Milan, 1962

-Jo Suvin (Institute for Image Studies)


Nov.19

2. When Art Met the Machine: Cybernetic Serendipity in London(ICA), 1968

-Jeong Miju (Institute for Image Studies)


Dec.3

3. From Object to System: Software in NY, 1970

- Kang Jimin (Institute for Image Studies)



The 1960s was a period in which art, technology, and exhibition practices intersected in unprecedented ways, bringing about significant transformations in artistic movement. Much like the role of AI today, terms such as program, information, and system influenced artistic practice and led to new aesthetic and social experiments. The Institute for Image Studies seek to rediscover a number of algorithmic exhibitions from the 1960s that have been largely forgotten in art history, and to reexamine the history of art through this technological lens.


This year’s event focuses on three key exhibitions—Arte Programmata (Milan, 1962), Cybernetic Serendipity (London, 1968), and Software (New York, 1970). By examining how technical terminology was creatively interpreted within the exhibition space and how it gave rise to new artistic discourses such as the “open work” and “conceptual art,” the colloquium seeks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modern art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This first session will be held as an internal event of the Institute, with recorded lectures made available later through the Institute’s official YouTube channel.


 
 
이미지문화연구소 로고2

이메일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길 7, 

강릉원주대학교 예술 1호관 302호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Arts Building No.1,  Room 302

7, Jukheon-gil, Gangneung-si, Gangwon State, South Korea

© COPYRIGHT 2025 Institute for Image Studies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